조휘재 LG전자 / 전무
기업의 표준 특허 활용 및 전략적 대응
표준 특허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고, 표준 특허를 활용한 수익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는 상황으로 세계 각국 기업의 표준 특허 확보 경쟁이 심화되고, 수익화 방안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기업의 표준 특허 출원, 활용 방법 및 전략적 대응에 대한 이해를 높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Hwijae Cho Senior Vice PresidentLG Electronics
Utilization of standard patents and strategic responses
The importance of standard patents is increasing, and there is a growing expectation for revenue from the use of standard patents. As a result, competition among companies around the world to secure standard patents is intensifying, and various ways to monetize them are also emerging. In response to this,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understand the application, utilization methods, and strategic responses to standard patents.
좌장 정재관 교수 가천대학교
Chairperson Jaekawn Jeong Professor Gachon University
안형진 부장렉시스넥시스
A.I 시대 특허 전쟁의 진화, A.I를 활용한 표준특허 가치평가와 효과적인 라이선스 전략
표준특허 시장이 중요해지는 만큼, 이 시장의 규모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A.I를 활용하여 선언된 특허의 표준 적합성과 선언되지 않은 숨겨진 표준특허의 규모를 확인함으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준특허 시장에 대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Hyungjin Ahn IP Account ManagerLexixNexis
How to use SEP data to evaulate and determine an license rate using A.I
As the SEP market becomes more importa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otal market size of this market. By using A.I, you can identify and denominator to measure the owner’s patent share compared to the total stack of patents relevant to a standards.
최수한 교수단국대학교
이동통신 분야 표준특허 개발전략
본 발표는 3GPP 이동통신 표준 규격에 매칭되는 표준 특허를 개발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표준특허를 개발하기 위한 필요한 요소와 전략에 대해 표준특허 개발을 한 경험을 토대로 발표한다.
Suhan Choi ProfessorDankook University
Strategies for Developing SEPs(Standard Essential Patents)
in Mobile Communications Area
This presentation explains strategies for developing SEPs matching with 3GPP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In particular, the presenter describes the essential parts and strategies for developing SEPs based on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SEPs.
백상현 변호사김 & 장 법률사무소
표준특허 대응전략: 표준특허 라이센싱 유의점 및 최근 손해배상 산정 사례
표준필수특허 라이센싱과 관련하여, 표준화기구들이 요구하는 FRAND 라이센싱 의무 측면에서 특허권자 및 실시자가 유의하여야 할 사항을 설명하고, 최근 소송에서 표준특허 관련 손해배상액을 산정한 사례를 소개한다.
Sanghyun Baek AttorneyKim & Chang
Strategies for SEP: Key Considerations for Licensing SEP and Recent Cases on Damages Calculation
Regarding SEP licensing, introduction to the matters that patent holders and implementers need to be aware of from the perspective of FRAND licensing obligations required by standard setting organizations, and recent cases where damages related to SEP were calculated in lawsuits
좌장 박정환 센터장한국특허전략개발원(KISTA)
Chairperson Parkjoung Hwan Center LeaderKISTA
문명섭 연구위원한국지식재산연구원(KIIP)
유럽 표준특허 규정안 진행 현황 및 대응방안
유럽의 표준특허 정책이 급변하고 있어, 국내 이해관계자에게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EU의 표준특허규정(안)의 진행 현황 및 대응 방안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Myoungseob Mun ResearcherKorea Institute of Intellectual Property
Progress and countermeasure on the EU’s draft standard essential patents regulation
As policies regarding standard essential patents in Europe are rapidly evolving, provide an overview of the progress and countermeasures related to the EU’s draft on standard essential patents, which are likely to affect domestic stakeholder.
성병기 대표변리사마루특허법률사무소
최근 특허 풀 동향 및 주요 이슈
Via LA, Access Advance, Avanci 등의 주요 특허 풀 운영사들이 운영 중이거나 운영 예정인 주요 특허 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최근 동향 및 주요 이슈에 관해 살펴본다.
Byungkee Sung Managing PartnerMARU IP LAW
Recent Trends and Key Issues in Patent Pools
This section examines notable recent trends and key issues regarding major patent pools currently operated or scheduled to be operated by leading patent pool administrators such as Via La, Access Advance, and Avanci.
정연욱 교수성균관대학교
양자컴퓨팅 시대의 미래 선점 전략: 연구개발과 특허확보
양자컴퓨팅 기술은 최근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으며, 연구개발을 넘어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글로벌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다. 이 발표에서는 양자컴퓨터 기술을 현황을 살펴보고 미래를 대비하는 연구개발 및 특허전략에 대해서 논의한다.
Yonuk Chong ProfessorSungkyunkwan University
Quantum Computing Strategy for the Future: Research, Development and Intellectual Property
Quantum computing technology has been dramatically advanced recently, and the focus is moving toward industralization from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is talk, I will give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quantum computing technology, and then will discuss briefly research and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ies.
김선우 교수한양대학교
ICT 표준특허 창출 사례
대학 차원에서의 3GPP 5G NR 표준특허 창출 전략을 소개하고, 이에 따른 실제 기술이전 사례 등에 대해 발표한다.
Sunwoo Kim ProfessorHanyang University
Case Study of ICTStandard Patent Invention
We present strategies for 3GPP 5G NR standard patent invention at the university level and discuss actual technology transfer cases accordingly.
좌장 유현욱 단장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Chairperson Hyunwook Ryu DirectorTTA
김욱 PM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지속가능 미래를 위한 디지털 표준 R&D 추진방향
신흥 기술 패권 주도를 위한 경쟁 심화에 더불어 빅테크 혁신 주도의 표준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자 AI, 6G, 양자 등 디지털 기술의 R&D-표준-시장 연계 전략을 알아본다. 또한, 민관 표준화 협력, R&D 과제 추진 및 디지털 포용성 표준 확대를 위한 2025년 ICT 국가 표준화 R&D 과제 기획방향에 대해 살펴본다.
Wuk Kim PMIITP
Digital Standardization R&D Directions for a Sustainable Future
This report examines strategies that integrate research and development, standardization, and market engagement in areas such as AI, 6G, and quantum technologies, addressing changes in the standardization landscape driven by big tech innovations and intensified competition for emerging technology leadership. Additionally, it covers the 2025 ICT National Standardization R&D Project Planning Directions, including public-private standardization collaboration, the advancement of R&D initiatives, and the expansion of digital inclusivity standards.
이창수 연구소장㈜이화네트웍스
ICT 표준의 첫걸음에서 국제표준 채택까지
분산형 차량 플랫폼의 3GPP 권고사항 적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성능 시험, 그리고 그 플랫폼과 서비스 프로토콜 표준 제정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이후 사업화 과정과 국제 표준을 준비하는 현재 상황을 설명한다.
Changsu Lee CTORIWHA networks. Co. Ltd
From the first step of ICT standards to the adop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The performance test to confirm compliance with the 3GPP recommendations of the distributed vehicle platform,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tandards for the platform and service protocol were described. It also explained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preparing international standards.
김영민 책임한국전자기술연구원
문화 시설 관람을 위한 시각장애인용 안내기기
본 발표에서는 2022년에 제정되고 2023년에 우수표준으로 선정된 “문화 시설 관람을 위한 시각장애인용 안내기기 요구사항과 콘텐츠 제작 지침”에 대해 발표를 진행한다. 본 표준을 활용한 다양한 실증 사례를 소개한다.
Youngmin Kim Principal Research EngineerKorea Electronic Technology
Guidance Device for Visually Imapaired for Cultural Appreciation
This presentation will cover the “Requirements and Contents Production Guideline of Guide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for Cultural Appreciation,” Which was established in 2022 and selected as one of the excellent standards in 2023. Various practical case studies utilizing this standard will be introduced
김신 박사후연구원건국대학교
글로벌 표준 무대, 나의 도전과 성장
신진 표준 전문가 지원을 통하여 메타버스와 관련된 국제 표준과 관련하여 표준화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메타버스를 위한 MPEG-IoMT 표준 제정 및 MPEG-V 표준 개정 사안에 대하여 발표하고자 한다.
Shin Kim Post-doctoral researcherKonkuk University
Global Standard Stage, My challenge and Growth
Through the support of new standard experts, we are actively engaging i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related to the metaverse. This presentation will cover the establishment of the MPEG-IoMT standard for the metaverse and the revision of the MPEG-V standard.
좌장 이준환 실장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Chairperson Junhwan Lee Senior DirectorETRI
최성호 PM정보통신기획평과원(IITP)
6G 국가 R&D 추진 방향
2023년 ITU-R에서 6G 비젼을 발표하면서 6G에 대한 표준이 본격화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경쟁적으로 6G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은 2021년부터 25년까지 1차 6G 연구개발을 수행 중에 있다. 2024년부터 기술 표준화가 본격화되고 2028년 이후에 6G 상용화가 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대한 2차 6G 연구개발을 2024년부터 착수할 예정이다. 2024년부터 착수할 2차 6G 연구개발 관련 자세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Sungho Choi PMIITP
Presentation title: 6G national R&D direction
With the 6G vision announced by ITU-R in 2023, standards for 6G are in full swing. In a situation where 6G research and development is being carried out competitively around the world, Korea is carrying out the first phase of 6G research and development from 2021 to 2025. Technology standardization is expected to begin in earnest from 2024 and 6G commercialization is expected to occur after 2028, so the secondary 6G research and development is scheduled to begin in 2024. We would like to share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the second phase of 6G research and development, which will begin in 2024.
김하성 수석KT
AI가 이끄는 6G 혁신: 표준화 전략맵을 통해 미래를 설계하다
AI와 클라우드 기반의 이동통신(5G/6G) 표준화 전략맵 Ver.2025에 대해 소개한다.
Hasung Kim Senior Principal ResearcherKT
6G Innovation Driven by AI: Design the Future Through Standardization Strategy
Present the TTA SSM Ver. 2025 for mobile communications based on AI and cloud.
노훈동 박사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우주 인터넷 시대를 열다: NTN 기술(표준) 현황과 미래 전망
3GPP RAN 표준화 그룹에서는 최근 5G NR release 17 및 18을 위한 NTN 기술 표준화 작업을 완료하였으며, 현재 NTN 표준 기술에 대한 추가 개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5G NTN 표준이 제공하는 대표 기능들을 살펴보고, 6G 통신에서 NTN에 기대되는 역할 및 이를 달성하기 위한 6G NTN 표준화 방향에 대하여 논의한다.
Hoondong Noh Ph.DETRI
Opening the Era of Space Internet: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NTN
The 3GPP RAN standardization group has recently completed the standardization of NTN technology for 5G NR Release 17 and 18, and is currently working on further enhancements to the NTN standards. This presentation will review the key features provided by the on-going 5G NTN standards and discuss the expected role of NTN in 6G communication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6G NTN standardization needed to achieve these goals.
정윤선 매니저SKT
개방형 통신 시대를 열다: CAMARA, GSMA Open Gateway가 가져올 미래와 표준화
Network API는 네트워크 통신망의 자원과 기능을 API 형태로 외부에 공개하여 서비스 앱 개발자들이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고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글로벌에서는 CAMARA, GSMA Open Gateway와 같은 이니셔티브들이 Network API의 공동 표준화를 주도하며 새로운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이끌어 왔다. 국내에서 통신 3사 또한 Network API 표준화에 적극 동참하여 국내 통신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GSMA Open Gateway와 국내에서 표준화되고 있는 API 리스트와 해외 서비스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Yoonsun Jung ManagerSKT
Opening the Era of Open Communication: The Future and Standardization of CAMARA and GSMA Open Gateway
Network APIs expose network resources and functionalities as APIs, enabling service app developers to create innovative services and generate new business opportunities. Globally, initiatives like CAMARA and the GSMA Open Gateway have been leading the standardization of Network APIs, driving the creation of new services and business models. In Korea, the three major telecom operators are also participating in the standardization of Network APIs to accelerate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domestic telecom industry. This presentation will provide an overview of the GSMA Open Gateway, explain the standardized APIs, and discuss real-world use cases.
좌장 박근덕 교수서울외국어대학교
Chairperson Keundug Park ProfessorSeoul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정현철 PM정보통신기획평과원(IITP)
사이버보안 R&D 정책 및 추진 방향
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사이버 보안은 국가안보, 사회, 국민생활을 위협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사이버보안 위협 동향을 살펴보고,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R&D 정책과 추진현황을 소개한다.
Hyuncheol Jeong PMIITP
Cybersecurity R&D policies and direction
As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entire economy and society accelerates, cybersecurity threatens national security, society, and people's lives. This presentation will look at cybersecurity threat trends and introduce government R&D policies and initiatives to respond to threats.
이동화 팀장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글로벌 공급망 시대의 보안 위협과 대응: 국외 규제 동향 및 대응방안
디지털 공급망의 확대와 오픈소스 활용의 확대로 날로 복잡해지는 공급망 보안을 위한 주요국가의 규제 및 표준화 동향과 체계적인 공급망 보안 위협에 대한 관리 노력을 공유한다.
Donghwa Lee Team leaderKorea Internet&Security Agency
Security Threats and Responses in the Era of Global Supply Chains: International Regulatory Trends and Response Strategies
This presentation shares the regulatory and standardization trends of major countries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ly complex supply chain security challenges caused by the expansion of digital supply chains and the growing use of open-source software. Addionally, We will share insights on organizational efforts to systematically respond to supply chain security threats.
염흥열 명예교수순천향대학교
디지털 전환 시대의 보안 패러다임: 제로트러스트 표준화와 구현전략
디지털 전환 시대에서 “절대 믿지말고, 언제나 검증하라”는 원칙을 갖는 제로트러스트 패러다임의 적용은 서비스나 응용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절대적이다. 본 발표에서는 제로트러스트 전략을 위한 주요국의 정책 동향을 살펴보고, 제로트러스트 관련 국제 표준 현황을 제시하며, 우리나라의 표준화 구현 전략을 논한다.
Heungyoul Youm Professor EmeritusSoonchunhyang University
Security paradigms in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Zero Trusht Standardization and Implemetation Strategie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application of the Zero Trust paradigm with the principle of “Never trust, always verify” is essential to ensure the trustworthiness of sevices and applications. This presentation will look at the policy trends of major countries for zero trust strategies,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zero trust, and discuss our standardization implementation strategy.
이학규 전문위원한국특허전략개발원(KISTA)
사이버보안 표준 관점의 유망기술 도출 및 표준특허 확보 전략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한 분야인 사이버보안 분야에서 표준화 주요 기술분야의 유망 기술 분야 도출과 이와 연계한 표준특허 확보를 위한 전략 제시한다.
Gakgyu Lee PMKISTA
Identifying Strategic technologies from the perspective of cybersecurity standards and a strategy for securing standard-essential patents.
Proposing a strategy for identifying promising technological areas in the field of standardization within the cybersecurity sector, which is one of the 12key national strategic technologies, and securing standard-essentail patents linked to these areas.
좌장 강부미 단장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Chairperson Boomi Kang DirectorTTA
오윤제 PM정보통신기획평과원(IITP)
양자 R&D 동향 및 추진방향
양자정보기술 동향 및 국가 연구개발 추진방향 관련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Yunje Oh PMIITP
Quantum R&D trends&national R&D direction
We would like to share information regarding the Quantum technology trends &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권대성 연구위원ETRI 부설연구소
글로벌 양자 표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라: 표준화 전략 2025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 초기 단계인 양자기술 분야 국제표준 선점을 위한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표준화 전략 2025에서는 양자암호통신, 양자컴퓨팅, 양자센싱, 양자통신 분야에서 국내가 글로벌 양자 표준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분야 및 전략을 소개한다.
Daesung Kwon Research FellowETRI
Take the lead in the Global Quantum Standards Competition: Standardization Strategy 2025
The "Standardization Strategy 2025" outlines the key areas and strategies for securing a competitive edge for the country in the global quantum standards race, particularly in the fields of quantum cryptography communication, quantum computing, quantum sensing, and quantum communication.
문기원 박사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불가능을 현실로: 양자네트워크가 가져올 미래
양자 네트워크의 개념, 구성요소 및 예상 파급효과를 설명하고, 관련 해외 연구 동향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연구 현황을 소개하고, 양자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방향을 제안한다.
Kiwon Moon Ph.DETRI
Opening the future with quantum networks
Explains the concept, components, and impact of quantum networks, introduces related overseas research trends an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at th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nd proposes technical directions for implementing quantum networks.
심규석 박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양자암호통신 서비스를 위한 해외연구동향 및 키관리 기술연구
양자암호통신은 양자키분배, 양자키관리, 양자암호모듈등으로 구성된다. 양자키관리 시스템은 생성된 양자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양자암호통신망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양자키를 서비스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사용자에게 안전하고 효율적인 키를 서비스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표에서는 양자키관리와 서비스를 위한 해외연구동향 및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Kyuseok Shim Ph.DKISTI
Research on Global Trends and Key management Technologies for Quantum Cryptography Services
Quantum cryptography consists of QKD, QKMS, QENC. The QKMS efficiently manages the generated quantum keys and the quantum cryptography network. Additionally, to provide quantum key services, technologies are required to securely and efficiently distribute keys to various users across diverse environments. In this presentation, we will introduce global research trends and technologies related to quantum key management and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