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선 책임현대오토에버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IT거버넌스 : 사회적 포용을 생각하는 기술
UN2030 지속 가능성 목표를 달성을 위해 IT거버넌스 관련 표준위원회에서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새로운 미디어와 기술의 출현이 가속화 되고 있지만, 관련 표준은 그 기술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미디어와 기술을 정의하는 프레임워크나 표준이 부족하여 가장 중요한 인간에 대해서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표준은 IT거버넌스를 통해 달성가능한 사회적 포용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Heesun Kim Principal ResearcherHyundai Autoever
IT Governance for a Sustainable Future : Technology that Considers Social Inclusion
This document aims to propose the efforts that the standards committee on IT governance should undertake in order to achieve the UN2030 sustainability goals. While the emergence of new media and technologies is accelerating, the related standards struggle to keep pace with the speed of these innovations. Additionally, the lack of frameworks or standards that define these media and technologies often overlooks the most fundamental human needs. Therefore, this document seeks to address the social inclusiveness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effective IT governance.
김원진 대표이사원제뉴인(주)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전자파 잔향실에서 완성되는 자율자동차 표준
자율자동차 기술이 확대됨에 따라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 안전을 고려한 설계와
개발 프로세스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자율자동차의 국내외 자동차 안전 기준이 강화되고 있으며,
관련 전자파 적합성 국제표준이 제개정 중이다. 자율자동차를 위한 IEC/ISO 전자파 적합성 표준의
동향과 전자파 안전 검증을 위해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잔향실 기술을 소개한다.
Wonjin Kim CEOOne Genuine Inc
The key point of future mobility, autonomous vehicle standards completed by a reverberation chamber method
As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expand, design and development procedure considering
functional safety to protect driver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automotive
safety standards for autonomous vehicles are being strengthened and related international EMC standards
are being revised. I introduce the trends of IEC/ISO EMC standards for autonomous vehicles and the
newly emerging reverberation chamber method technology for EMC safety verification.
원은태 연구교수국민대학교
인류와 바다의 공존, 멀티모달 수중통신 표준이 만들어가는 새로운 시대
지구의 70%를 차지하는 바다는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으며, 인류가 우주를 탐사하는 지금도 바닷속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매우 제한적이다. 기후 변화와 자원 고갈로 인해 바다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으며, 이를 보호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인류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바닷속에서도 지상과 같이 원활한 통신이 가능해야 하며, 멀티모달 수중통신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멀티모달 수중통신 기술은 음향, 광학, 전파, 자기 유도 등 여러 매체를 결합하여 수중 환경에서도 최적의 통신 성능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수중에서는 신호 감쇠, 통신 지연, 불안정한 연결성 등의 문제로 인해 단일 통신 매체로는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통신을 보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멀티모달 통신 기술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해양 산업의 요구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국제 표준화를 통해 이러한 기술을 정교하게 다듬고 상호 운용성을 확보함으로써, 글로벌 해양 IoT 시스템의 확장을 촉진하고, 해양 자원 탐사, 생태계 모니터링, 해양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본 세미나는 이러한 멀티모달 수중통신 기술 표준화가 가져올 새로운 시대를 조망하며, 인류와 바다의 공존을 위한 미래 비전을 제시할 것이다.
Euntae Won Research ProfessorKookmin University
Coexistence of Humanity and the Ocean: A New Era Led by Multi-Modal Underwater Communication Standards
The ocean, which covers 70% of the Earth's surface, remains a mysterious and largely unknown realm, even as humanity embarks on space exploration. Our understanding of the underwater world is still very limited. However,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ocean, driven by climate change and resource depletion, makes its protection and efficient use essential for humanity's sustainability. Achieving this goal requires seamless communication underwater, just as we experience on land, and multi-modal underwater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essential to making this possible.
Multi-modal underwater communication combines various mediums such as acoustics, optics, radio frequency (RF), and magnetic induction (MI) to deliver optimal communication performance in underwater environments. Due to issues like signal attenuation, communication delays, and unstable connections, no single communication medium can ensure reliable and stable communication underwater. Therefore, multi-modal communication is crucial for meeting the diverse demands of the marine industry.
Through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hese technologies can be refined to ensure interoperability, facilitating the expansion of global marine IoT systems. Multi-modal communication technologies can be applied in areas like marine resource exploration, ecosystem monitoring, and maritime safety. This seminar will highlight the new era introduced by the standardization of multi-modal underwater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present a vision for the future of coexistence between humanity and the ocean.
공성식 공업연구관국립전파연구원(RRA)
미래를 향한 연결, ITU-T가 그리는 디지털 전환 시대의 표준화 (WTSA-24 회의 결과)
ITU(국제전기통신연합)가 주관하는 WTSA-24(세계전기통신표준화총회, ‘24.10.15.-24., 인도 뉴델리)에 194개 주관청 회원국 등 약
2,500여명이 참석하여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동 발표에서는 WTSA-24에서 논의된 ITU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ITU-T)의 결의(resolution) 제·개정 사항, 의장단 선출 결과 등에 대해 설명하고, 디지털 포용성 및 신뢰성, AI 및 메타버스, 글로벌 협력 등 ITU-T 부문의 표준화 이슈에 대해 소개한다.
Sungsik Kong Deputy DirectorNational Radio Research Agency
Connecting to the Future: Standardization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Envisioned by ITU-T
The WTSA-24 (World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Assembly, ‘24.10.15.-24., New Delhi, India), hosted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was successfully concluded with the 2,500 participants from 194 member states. This presentation explains the resolutions of the ITU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T) and the results of the election of the chairperson discussed at WTSA-24, and introduces standardization issues in the ITU-T such as digital inclusion and reliability, AI and metaverse, global cooperation and so on.
김근영 박사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지속 가능한 도시를 위한 혁신, 시티버스(CitiVerse) 개념 및 표준화 동향
스마트 시티가 UN의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s)의 한 분야로 선정됨에 따라, 도시와 공동체는 더욱 포용적이고, 회복력이 있는 지속 가능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존의 “IoT”와 “데이터 허브” 등의 기술 활용을 넘어, “디지털 트윈”과 “메타버스” 같은 첨단 기술이 융합되면서 시티버스라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표에서는 시티버스의 역할과 도입 배경을 중심으로, 국내외 발전 동향 및 관련 표준의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Geunyoung Kim Ph.DETRI
Innovation for Sustainable Cities: The Concept and Standardization Trends of CitiVerse
With Smart Cities being recognized as a key component of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cities and communities are evolving into more inclusive, resilient, and sustainable forms. As a result, the use of technologies such as IoT and Data Hubs has evolved beyond their traditional applications, integrating Digital Twin and Metaverse technologies to form a new concept known as CitiVerse. Accordingly, this presentation will focus on the role and background of CitiVerse, while examining its development trends and the status of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at both domestic and global levels.
권종원 센터장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신뢰할 수 있는 AI를 위한 길, 국제 표준과 적합성 평가의 중요성
이번 발표는 "모두를 위한 AI"라는 주제로, 국제 표준이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구축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설명한다. 이 발표는 이러한 표준이 인공지능의 투명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면서, 다양한 사용자와 사회의 요구를 충족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한국의 적극적인 노력과 이니셔티브를 강조하며, 이러한 노력이 글로벌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인공지능 생태계 구축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보여준다. 궁극적으로 모두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AI 개발을 위한 명확한 길을 제시한다.
Jongwon Kwon Director of centerKorea Testing Laboratory
The Path to Trustworthy AI: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onformity Assessment
This presentation, titled "AI for All," explores how international standards play a crucial role in building trustworthy AI. Focusing on inclusivity as a core value, it explains how international standards ensure transparency and safety in AI technologies while addressing the diverse needs of users and societal demands. The presentation also highlights Korea's proactive initiatives, presenting a roadmap for establishing a globally trusted AI ecosystem. Through these efforts, the presentation outlines pathways to create a reliable and inclusive AI environment worldwide.
홍경순 수석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모두를 위한 디지털 세상, 정보접근성이 보장된 무인정보단말기의 확산
코로나19 확산, 최저임금 상승으로 디지털 비대면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장애인 및 고령층 등 정보 취약계층의 무인정보단말기 이용이 어려워짐에 따라, 정부의 정보접근성을 준수한 무인정보단말기 보급 및 확산을 위한 제도개선, 표준개발, 실태조사 및 인식 제고 활동을 소개한다.
Kyoungsoon Hong Executive Principal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 digital Inclusion world for all, the proliferation of self-service kiosk to accessibility
As digital non-face-to-face services spread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and the rise of the minimum wage,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information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to use self-service kiosk. Introduce system improvement, standard development, fact-finding, and awareness-raising activities for the distribution and spread of self-service kiosk in compliance with the government's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좌장 이준섭 실장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Chairperson Junseob Lee DirectorETRI
최인선 교수가천대학교
탄소중립 에너지기술 정책 방향 및 기술 동향
2020년 10월 탄소중립 선언 전후로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기술 개발, 보급 활성화 및 사회 전반의 효율 향상을 위한 주요 정책 및 제도 추진 내용과 탈탄소화, 분산화, 디지털화에 따른 에너지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핵심기술 확보 및 상용화 전주기 지원 강화를 위한 기술 동향 소개
Jongmoon Park ProfessorMyongji University
Carbon Neutral Energy Technology Policy Direction and Technology Trends
Before and after the declaration of carbon neutrality in October 2020, key policies and systems promoted to develop and dissminte technology and improve overall efficiency in society, as well as key points in response to paradigm changes in the energy industry due to
decarbonization, decentralization, and digitalization introduction of technology trens to strength support for the life cycle of technology acquisition and commercialization
박종문 교수명지대학교
탄소중립을 위한 반도체 인프라 기술개발 전략
탄소중립, ESG의 시대에 반도체인프라는 배출가스의 처리, 에너지(전력), 용수의 확보 등 여러 기술적 도전이 존재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너지 분야 지방자치단체, 연구기관, 반도체 소부장, 대학의 활발한 기술협력이 필요하며, 이에 명지대학교 반도체인프라환경센터의 기술개발 전략과 AI, IoT 등 최신기술을 활용하여 반도체 인프라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한 몇몇 글로벌 기업들의 다양한 시도를 소개한다.
Jongmoon Park ProfessorMyongji University
Strategies for Developing Semiconductor Infrastructure Technology for Carbon Neutrality
In the era of carbon neutrality and ESG, addressing the challenges in emission control, energy efficiency, and water management within semiconductor infrastructure requires cross-sector collaboration. This presentation outlines the strategies of the Semiconductor Infrastructure Environment Center at Myongji University and highlights global effort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n semiconductor infrastructure through AI and IoT.
정상진 기술총괄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탄소중립 ICT 융합서비스 표준 프레임워크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이 융복합된 복잡한 정보기술 서비스를 사용자 가치, 비즈니스 생태계, 서비스 사례 및 구현 기술, 표준화 시각에서 포괄적으로 구조화하여 보여주는 개념 구조이다. 탄소중립 표준 프레임워크는 디지털 기술의 고효율화와 탄소배출 관리 기술 혁신을 통한 그린디지털 생태계 구축 및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목표로 디지털 기술 효율화, 산업부문 탄소저감, 지속가능 생태계 분야의 유스케이스를 기반으로 표준 갭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Sangjin Jeong CTSETRI
ICT convergence service standards framework for carbon net-zero
The carbon net-zero standard framework is based on use cases in the fields of digital
technology efficiency, carbon reduction in the industrial sector, and sustainable ecosystem with
the goal of building a green digital ecosystem and transitioning to a carbon-neutral society
through high efficiency of digital technology and innovation in carbon emission management
technology. We present the results of standard gap analysis.
좌장 김재완 교수고등과학원(KIAS)
Chairperson Jaewan Kim ProfessorKorea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KIAS)
김효실 센터장미래양자융합센터(QCI)
QuINSA 기구 개요 및 활동 소개
모든 산업의 게임체인저 역할을 하는 양자기술에 대한 세계 주요국의
패권경쟁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양자 산업화 촉진을 위한 글로벌 사실표준화 기구인 QuINSA의 발족 내용과 비전과 목표, 조직과 추진방향 등을 소개하고 활동 내용에 대하여 발표한다.
Hyosil Kim Center DirectorFuture Quantum Convergence Center
QuINSA organization overview and activity introduction
Quamtum technology is erving as a game changer for all industries. In this situation QuINSA a global fact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to promote quantum industrialization was launched QuINSA’s vision, goals, organization and firection will be introduced and activities will be announced
Nitzan Livneh CTOHEQA security
QKD Trends and HEQA Strategies
Quantum key distribution (QKD) was first presented in 1984 as a scientific idea. 40 years have passed, and thousands of km today are protected by QKD. In this talk we will review the different QKD trends worldwide, the standardization challenges of QKD and the strategy of Heqa-Security in this rapidly growing market.
표창희 상무IBM Quantum
IBM 양자컴퓨팅의 기술 발전 및 혁신을 위한 개발 로드맵
IBM의 양자 컴퓨팅 기술 발전과 혁신을 위한 전략 로드맵을 소개한다. 우리의 주요 목표는 현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양자 우위를 달성하는 것이다. IBM은 양자 시스템의 성능과 확장성을 강화하기 위해 설정한 여러 단계적인 마일스톤을 달성해 나가고 있으며, 이에는 큐빗 품질, 오류 수정, 양자 알고리즘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발전이 포함된다.
Changhee Pyo Head IBM Quantum
Development Roadmap for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Innovation in IBM Quantum Computing
Exploring IBM's strategic roadmap for advancing quantum computing technology and fostering innovation. The key focus will be on our commitment to overcoming current limitations and achieving quantum advantage. We will discuss the progressive milestones set by IBM to enhance the performance and scalability of quantum systems, including breakthroughs in qubit quality, error correction, and quantum algorithms. Additionally, we will highlight our collaborations with academic institutions, industry partners, and the IBM Quantum Network to drive forward the application of quantum computing in real-world problems. The presentation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our vision for the future of quantum computing and the steps we are taking to lead the industry towards groundbreaking advancements.
윤지원 대표㈜에스디티
제조업으로써의 양자기술과 제조표준화의 필요성
기존에는 이론적이고 실험실 위주였던 양자과학은 최근 전세계적인 대규모 투자로 빠르게 공학으로 발전하고 있다. 물리학과 수학은 물론 전기, 컴퓨터, 화학, 재료 공학과 같이 광범위한 엔지니어링 분야를 포괄하는 다학제 분야로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양자산업의 가치사슬이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다. 제조업으로써 양자기술을 분석하고, 다학제 분야가 좀 더 유기적으로 협력하기 위한 제조표준화에 대한 논의를 다룰 예정이다.
Jiwon Yune Founder&CEOSDT Inc.
The Need for Manufacturing Standardization in Quantum Technology
Until recently, quantum sciences have largely been relegated to theoretical or lab-based research. However, quantum technologies are rapidly industrializing with large-scale investments worldwide. Quantum science is developing into a multidisciplinary field that encompasses a wide range of engineering, including physics, mathematics, electrical, computer, chemical, and material engineering, but the value chain of the quantum industry has not yet been clearly established. We will analyze quantum technolog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highlight the need for manufacturing standardization for more organic cooperation among multidisciplinary fields.
Nicolas Spethmann Head of QTZPTB QTZ
Standardization for Quantum Technologies: CEN/CENELECs Joint Technical Committee JTC-22
In this talk, I will briefly outline the scope and goals of JTC-22, and give context how the work of JTC-22 is embedded into the European development of a Quantum Technology Innovation ecosystem. I will further present current status and activities of JTC-22 with respect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좌장 김재우 부장대한항공
Chairperson Jaewoo Kim Vice presidentKorean Air
문우춘 연구소장항공우주산학융합원 (IAIAC)
G3AM 기구소개
G3AM 기구의 설립배경 및 경과, 미션, 비전, 추진 전략을 소개한다.
Woochoon Moon DirectorIAIAC
Introduction of G3AM
Introduction to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G3AM organization, it’s mission, vis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오경륜 책임연구원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2024 ICAO AAM Symposium을 통해 본 글로벌 AAM 동향
2024 ICAO AAM Symposium에서 발표된 K-UAM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 ICAO에서 요청한 AAM 관련 모든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조치요청사항(Call To Action) 및 전 세계 AAM 동향을 정리 발표한다.
Kyungryoon Oh Director of ResearchKARI
Global AAM trends from the 2024 ICAO AAM Symposium
Introducing the K-UAM-related content presented at the 2024 ICAO AAM Symposium, and summarizing and presenting the Call To Action for all stakeholders related to AAM requested by ICAO and the global AAM trends.
오세진 연구소장㈜파인브이티
AAM 안전운용을 위한 교통관리와 양자암호 보안
AAM 안전운용을 위한 교통관리는 안전항 항행을 보장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위해서 반듯이 필요한 시스템과 절차이다. 기존의 항공체계과 통합이 가능해야 하고, 유ㆍ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용되어 해킹이나 사이버공격에 취약해서, 양자암호 보안을 적용하여 높은 수준의 보안 적용이 필요하다.
Sejin Oh Director of ResearchFineVT
Traffic management and quantum cryptography security for AAM safe operation
Traffic management for AAM safe operation is a system and procedure that is absolutely necessary to ensure safe navigation and operate efficiently. It must be able to be integrated with existing aviation systems, and since it is operated based on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t is vulnerable to hacking and cyberattacks, so a high level of security application is required by applying quantum cryptography security.
Mitchell Williams Country ManagerSkyport
Vertiport Development: Integrating AAM in modern cities.
Skyports is a leader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dvanced air mobility infrastructure, with a focus on real-world application rather than theoretical analysis. Our approach emphasizes learning through the practical experience of building and operating vertiports, allowing us to refine designs and operations based on real-time data and insights. This hands-on method ensures our solutions are both effective and adaptable to meet the evolving needs of the urban air mobility sector.
좌장 김대균 TTA TC11 Chair삼성
Chairperson Daegyun Kim TTA TC11 ChairSamsung
김윤선 RAN1 Chair삼성전자
5G-Advanced 및 차세대 이동통신 관련 물리계층 표준화 동향
한국에서 5G 이동통신이 상용화된 지 벌써 4년이 지났다. 전세계적으로 200건이 5G 상용화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5G 상용화를 가능케 한 것 중 하나는 3GPP가 2016년에 착수하여 개발 완료한 5G 이동통신 규격이 있다. 최근 3GPP는 5G 이동통신 규격의 다음 단계인5G-Advanced 개발로 전환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5G Advanced Rel-18/Rel-19 및 미래 이동통신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주요기술들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Younsun Kim RAN1 ChairSamsung Electronics
A Physical Layer Perspective on 5G-Advanced and Beyond
More than 4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irst deployment of 5G networks in Korea.And today, there are more than 200 commercial 5G launches worldwide. These 5G networkswere made possible by the tremendous effort that was started in 2016 by 3GPP to develop the5G specifications. In 3GPP, the evolution of 5G has entered a second phase known as 5G-Advanced. This presentation will introduce some of the key physical layer technologiesdeveloped for 5G-Advanced Rel-18/Rel-19 and what is being discussed for future releases.
Jose Luis Almodovar Chico SA1 ChairSA1 Chair / 3GPP
3GPP SA1 status and overview
This presentation will give an overviwe and Status of the work perform by the standardization 3GPP group SA1
Nicolas Chuberre RAN2 NTN WI Rapporteur
3GPP NTN Standardization overview
Outline of the NTN roadmap in 5G, 5G advances and upcoming 6G context
Xiaobo Wu SA2 AIML WI RapporteurVivo
3GPP AI/ML Standardization overview for system architecture in SA2
Summary the standard activity for core network in SA2 since R16 (e.g. AIML framework in core network and AIML data collection framework, Multi-vendors Model Sharing) Brainstorm for potential AIML architecture design principles in 6G core network and how to coordinate with other 3GPP working groups.